처분가능소득보다 먹거리 물가가 더 큰폭으로 오르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.
특히 저소득층은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1%에 못 미쳐 장바구니·외식 물가 부담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된다.
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웃도는 현상이 5개 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어 먹거리가 가계에 계속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.
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 3분기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397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.1% 늘었다.
처분가능소득은 전체 소득에서 이자·세금 등을 뺀 것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다. 이와 비교해 3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.1%로 같았다.
그러나 소비자물가지수에서 대표 먹거리 지표로 꼽히는 가공식품과 외식의 3분기 물가 상승률은 6.3%와 5.4%로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상회했다.
처분가능소득 증가분에 비해 먹거리 물가가 훨씬 더 오른 것이다. 그만큼 먹거리 물가가 다른 소비자 품목에 비해 일상생활에 더 부담을 주고 있다는 얘기다.
이런 현상은 지난해 3분기부터 5개 분기 연속 지속됐다.
지난해 2분기에는 코로나19 기저효과와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효과 등으로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14.2%로 먹거리 물가 상승률을 압도했으나 이후에는 역전됐다.
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 2.0%로 뚝 떨어진 후 2∼3% 수준에 머물다가 올해 2분기에는 -2.8%로 마이너스(-)로 전환하기도 했다.
반면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3분기 7∼9% 수준이었고 올해 3분기에는 5∼6% 수준으로 소폭 둔화하긴 했으나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고 있다.
올해 3분기의 경우 가공식품 73개 세부 품목 중 72.6%인 53개의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(3.1%)을 웃돈다.
외식은 39개 세부 품목 중 3개를 제외한 36개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.
저소득층이 체감하는 먹거리 부담은 더 컸다.
올해 3분기 소득하위 20%(1분위) 가구의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91만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0.6% 증가하는 데 그쳤다. 반면 소득상위 20%(5분위)는 832만원으로 3.1% 늘었다.
3분기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률은 1분위 가구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의 각각 10.5배, 9.0배였다. 이는 5분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 대비 각각 2.0배, 1.7배에 비하면 훨씬 컸다.
지난달에는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률이 4.9%와 4.8%로 둔화세를 보여 먹거리 부담이 다소 작아지긴 했다.
하지만 고금리·고물가가 지속되며 가계 여윳돈이 줄어 먹거리 부담이 대폭 개선되긴 어려운 실정이다.
정부는 이런 점을 고려해 배추·사과·달걀 등 농축산물 14개 품목과 햄버거·치킨·피자 등 외식 5개 품목에 이어 최근 우유·빵·라면·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 9개 품목의 물가 관리 전담자를 추가 지정하고 서민 체감도가 높은 이들 28개 농식품 품목에 대한 밀착 관리에 나섰다.
정부는 지난 24일 제3차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"국제 유가 변동성, 겨울철 기온 변화 등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최근 물가 개선 조짐이 확산할 수 있도록 품목별 가격·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현장·업계의 애로 요인들을 신속히 해결해 나갈 방침"이라고 말했다.
출처=더파워뉴스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더파워뉴스] 우리은행, '놓친보험금찾기' 서비스 출시... 조회부터 환급까지 간편하게 해결 (1) | 2023.11.29 |
---|---|
[더파워뉴스] 우리금융캐피탈, 금융보안원으로부터 ISMS-P 인증 취득 (0) | 2023.11.28 |
[더파워뉴스] BNK부산은행, 행보 '부산은행 이야기', 2023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 수상 (0) | 2023.11.28 |
[더파워뉴스] 신협, ‘2023 올해의 SNS’ 유튜브 부문 최우수상 수상 (1) | 2023.11.27 |
[더파워뉴스] "이러다 신불자 될 판"... 고금리·고물가에 카드로 빚 돌려 막는 서민들 급증 (0) | 2023.11.23 |